키 크기에 따라 AES의 세 가지 버전이 존재하며 이들은 AES-128. AES-192, AES-256으로 불린다.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키 확장 알고리즘으로부터 생성되는 라 운드 키 크기는 평문과 암호문 크기와 동일한 128비트이다.
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rounds and cipher key size
AES 암호의 구조도
(2) 암호 (Cipher)
1) 개요 178회산기 16.7회기사
① DES에서는 페이스텔 네트워크라는 기본 구조를 사용하고 있지만, Rijndael에서는
SPN(Subetitution-Permutation Network)"이라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.
② AES 암호화 과정의 각 라운드는 비 선형성을 갖는 S-Box를 적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치 환을 수행하는 SubBytes() 연산 행 단위로 순환 시프트(Cyelle shift)를 수행하는 ShiftRows() 연산, 높은 확산(diffusion)을 제공하기 위해 열 단위로 혼합(mixing)하는 MixColumns() 연산과 마지막으로 라운드 키와 state EX-OR하는 AddRoundKey() 연산으로 구성된다.
암호화의 마지막 라운드에서는 MixColumns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.
④ AES는 알려진 블록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모든 공격 방법으로부터 안전하도록 설계되 었으며,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구현 시 속도나 코드 압축성 면에서 효율적이므로 스 마트카드와 같은 응용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.
구조IDEALai-Massey Scheme)
@드라고 한다DESbox않고 특별한 방법알려지지 않아 DES안전것판단있 , 되어 되고 있 보다 배 빠르고 무차별 공격더욱 으로 대응
RCS 알고리즘1994미국 연구소라이베스트Rivest개발으로 으로 빠른 와 복호기능제공하며하드웨어에 하다. 알고리즘 RC5(Ron's Code 532128비트가지며속도는 DES10이다
3) SEED 170BL 기사 17회
① 1999년 한국정보진흥원(현 한국인터넷진흥원)과 국내 암호전문가들이 함께 개발한 알고리 즙으로 인터넷, 전자상거래, 무선 통신 등에서 공개될 경우 민감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 정보 및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대칭키 알고리즘이다. ② 1999년 9월 정보통신단체표준(TTA)으로 제정되었고, 2005년에는 국제 표준화 기구인
ISO/IEC 및 IETF에서 국제 블록암호 알고리즘 표준으로 제정되었다. ⑤ 128비트 비밀키에서 생성된 16개의 64비트 라운드 키를 사용하여 총 16회의 라운드를 Bedro-tech 거쳐 128비트의 평문(plaintext) 블록을 128비트 암호문(ciphertext) 블록으로 암호화 하여 출력하는 방식이다. (2009년 256비트 키를 사용하는 SEED-256으로 확정되어 보 다 강력한 암호화 능력을 제공)
④ SEED의 F 함수는 수정된 64비트 Feistel 형태로 구성된다.
4) ARIA(Academy Research Institute Agency)
① 전자정부 구현 등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합한 암호화 알고리즘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국가보안기술연구소(NSRI) 주도로 학계, 국가정보원 등의 암호기술전문가들이 힘을 모아 개발한 국가 암호화 알고리즘이다.
② ARIA는 개발팀이 Academy(학계), Research Institute(연구소), Agency(정부기관)로 구성 되었음을 의미하며 학·연·관이 공동으로 개발한 정보보호 핵심기술임을 함축하고 있다. ISPN(Involutional SPN) 구조의 128비트 블록 암호로 128비트, 192비트, 256비트의 3종류의 키 사용을 제공하며 키의 길이에 따라 ARIA-128, ARIA-192, ARIA-256 로 구분한다.
ARIA의 입출력 크기와 사용 가능한 키 크기는 미국 표준 블록암호인 AES와 동일하다.
5) HIGHT(HIGh security and light weigHT)
① HIGHT는 RFID, USN 등과 같이 저전력·경량화를 요구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2005년 KISA, ETRI 부설 연구소 및 고려대가 공동으로 개발한 64bit 블록암호이다.
② 이 알고리즘은 2006년 12월 정보통신단체표준(TTA)으로 제정되었으며, 2010년 ISO/IEC 국제 표준 암호 표준으로 제정되었다.
6) LEA(Lightweight Encryption Algorithm) 17.9회기사 bom Me
① LEA는 2012년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개발한 '128bit 경량 고속 블록 암호 알고리즘' 이다. LEA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미국 연방 표준 알고리즘 AES(Advanced Encryption Standard)보다 1.5~2배 빠르다.
② 다양한 정보보호 서비스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거나 스마트폰 보안, 사물 인터넷(IoT) 등 저전력 암호화에 널리 쓸 수 있다.